목록2022 하계 모각코 (6)
이것저것

학습 목표 : 파이썬 학습 학습 내용 : 백준 문제풀이(17609번)를 통한 파이썬 학습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609 17609번: 회문 각 문자열이 회문인지, 유사 회문인지, 둘 모두 해당되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회문이면 0, 유사 회문이면 1, 둘 모두 아니면 2를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import math input = int(input()) for _ in range(input): data = input() if data == data[::-1]: print("0") else: str_start = list(data) str_end = list(data) for i in range(math.ceil(int(len(da..

학습 목표 : 파이썬 학습 학습 내용 : 백준 문제풀이(2504번)를 통한 파이썬 학습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04 2504번: 괄호의 값 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 만일 www.acmicpc.net s = input() stack = [] tmp = 1 result = 0 for i in range(len(s)): if s[i] == '(': tmp *= 2 stack.append(s[i]) elif s[i] == '[': tmp *= 3 stack.append(s[i]) elif s[i] == ')':..

학습 목표 : 파이썬 학습 학습 내용 : 백준 문제풀이(1012번)를 통한 파이썬 학습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12 1012번: 유기농 배추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.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, 한나는 해충 방지에 www.acmicpc.net t = int(input()) dx = [1, -1, 0, 0] dy = [0, 0, -1, 1] def bfs(x, y): queue = [[x, y]] while queue: a, b = queue[0][0], queue[0][1] del queue[0] for i in range(4): q = a + dx[i] w =..

학습 목표 : 파이썬 학습 학습 내용 : 1학년 1학기 컴과사 자료를 통한 기본적인 파이썬 복습 3회차 학습후기 : 2회차에서 선택정렬을 구현한 것에 이어서, 퀵정렬과 이진탐색을 구현해 보았고 마지막으로 클래스 정의까지 복습했다. 예전에 쓴 적 있는 언어라 할지라도 많은 부분을 까먹었을 경우에는 스스로 복습을 잘 안하게 되는데, 이번 모각코를 통해서 파이썬을 다시 복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.

학습 목표 : 파이썬 학습 학습 내용 : 1학년 1학기 컴과사 자료를 통한 기본적인 파이썬 복습 2회차 학습후기 : list comprehension이라는 것은 [식 for 변수 in 리스트] 단 한 줄로 원하는 리스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표현식인데, 이 표현식과 더불어 마지막에 선택정렬을 구현한 것을 함께 보면 확실히 파이썬이 다른 언어에 비해 사용이 간단하다는 것을 다시금 알 수 있었다. 이렇게 조금씩 함수나 표현식들을 복습하며 알아가다보면 조금 더 짧고 효율적으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것 같다.

학습 목표 : 파이썬 학습 학습 내용 : 1학년 1학기 컴과사 자료를 통한 기본적인 파이썬 복습 파이썬 반복문 사용 복습 파이썬 함수 사용 복습 학습후기 : java나 c를 계속 사용하다보니 파이썬 문법을 많이 잊어버려서 오랜만에 컴과사 자료를 다시 열어 반복분 부분부터 복습을 했다. 보통은 for문 안에 if-else문, while문 안에 if-else문을 사용하는데, 파이썬에서는 거기에 더해서 while-else문, for-else문이라는 문법이 있었다는 것과 자료형 또한 list에서 그치지 않고 set() 표기를 통해 중첩을 허용하지 않는 set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상기시킬 수 있었다. 기본적인 문법은 대충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디테일한 부분은 역시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잊어버린다는 것을..